다양한 개성으로 무장한 작은시장 '세포마켓'
다양한 개성으로 무장한 작은시장 '세포마켓'
1인 크리에이터들이 활동하고 있는 무대가 '1인 미디어'에서 이제는 '1인 마켓'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누구나 SNS를 통해 마켓을 열고 직접 물건을 팔 수 있는 시대죠
이처럼 판매와 소비를 동시에 하는 사람을 '셀슈머(sellsumer)'라고 합니다.
소비자를 뜻하는 customer와 sell(팔다)의 합성어인데요
이러한 셀슈머들이 자신들만의 다양한 개성을 담은 상품들을 판매하는 시장을 바로 'cell market(세포마켓)'이라고 합니다.
세포마켓은 매년 대한민국의 트렌드를 발표하는 서울대 김난도 교수가 2019년 소비 트렌드 중 하나로 꼽으며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요
마치 세포처럼 세분화되고 작은 시장이란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지만, 규모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국내의 개인 간 거래인 C2C(Customer-to-Customer)시장은 약 20조원에 이를만큼 국내 유통시장에서 이미 큰 축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죠
이제는 누구나 SNS를 통해 마켓을 열고 직접 물건을 팔 수 있는 시대죠
이처럼 판매와 소비를 동시에 하는 사람을 '셀슈머(sellsumer)'라고 합니다.
소비자를 뜻하는 customer와 sell(팔다)의 합성어인데요
이러한 셀슈머들이 자신들만의 다양한 개성을 담은 상품들을 판매하는 시장을 바로 'cell market(세포마켓)'이라고 합니다.
세포마켓은 매년 대한민국의 트렌드를 발표하는 서울대 김난도 교수가 2019년 소비 트렌드 중 하나로 꼽으며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요
마치 세포처럼 세분화되고 작은 시장이란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지만, 규모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국내의 개인 간 거래인 C2C(Customer-to-Customer)시장은 약 20조원에 이를만큼 국내 유통시장에서 이미 큰 축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죠
세포마켓의 등장 배경은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1인 크리에이터들의 증가가 큰 역할을 했지만
사실 소비 형태의 변화에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과거에는 큰 유행의 흐름에 따라 상품들이 등장하고 소비시장이 움직였지만, 이제는 개인의 개성과 취향을 더욱 존중하는 시대로 변화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게 시장은 점점 세분화되면서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한 것이죠
세포시장의 장점은 SNS를 통해 주로 홍보하기 때문에 웹 사이트의 제작이나 디자인 작업에 드는 비용이 훨씬 적은 편입니다.
또한 주문이 들어옴과 동시에 발주를 하거나 제작하여 물품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재고관리에도 용이합니다.
무엇보다 노골적인 상품 홍보가 아니라 일상 속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직접 사용하며 노출하기 때문에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구매자들이 공감하고 공유하기 쉽다는 것에 있죠
세포마켓을 비롯한 C2C 시장의 성장은 기존 기업들에게는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많은 기업들은 인플루언서(SNS에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SNS유명인)들을 이용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하거나 협업하여 새로운 브랜드를 론칭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소비트렌드의 변화에따라 변동이 예상되는 종목들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세포마켓의 규모가 커지면서 문제점 또한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SNS쇼핑 관련 피해사례는 작년대비 20%가량 증가했다고 합니다.
주로 소규모로 판매되고 있는 마켓의 특성상 교환이나 환불, 제품 불량, 배송지연 등의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면에서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입니다.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SNS쇼핑 관련 피해사례는 작년대비 20%가량 증가했다고 합니다.
주로 소규모로 판매되고 있는 마켓의 특성상 교환이나 환불, 제품 불량, 배송지연 등의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면에서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입니다.
또한 사업자 신고 없이 거래를 하는 1인 판매자들은 규제나 단속이 어렵기 때문에 별다른 규제나 정책이 없다면 피해 사례 또한 점차 늘어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C2C 시장 규모의 확대에 따라 정부의 소비자 보호 관련 정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C2C 시장 규모의 확대에 따라 정부의 소비자 보호 관련 정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HOT ISSUE > 사회·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유시대에서 천연가스의 시대로!? 미래경제의 동력 셰일가스! (0) | 2019.02.01 |
---|---|
넷플릭스 잡아라! 국내 미디어사들의 도전장 (0) | 2019.01.31 |
초고령 사회 임박! 급 성장하는 '실버푸드'시장 (0) | 2019.01.29 |
스타벅스의 위기? 골드만삭스 투자의견 조정! (0) | 2019.01.28 |
대통령의 전국 경제투어, 대전 편 (0) | 2019.01.25 |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