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분석 : 서울식품우, 영화테크, 이더블유케이. 코리아나 주가 급등 분석

특징주 분석 : 서울식품우, 영화테크, 이더블유케이. 코리아나 주가 급등 분석









서울식품, 서울식품우 :  액면분할 후 변경상장 실적 개선 기대감에 매수세 몰리며 이틀째 상한가 기록.


서울식품, 서울식품우는 제빵사업과 환경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입니다.  지난 7월 액면분할 결정되면서 10월11일부터 거래가 정지됐었는데요. 서울식품과 서울식품우의 주가가 전일 변경상장후 거래가 재개되며 급등세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식품우는 상한가로 장을 마감했으며, 서울식품은 26.52%로 마감하였습니다.





지난 7월 유통주식수 확대를 목적으로 주당 가액을 2,500원에서100원으로 하는 주식분할을 결정했었는데요. 보통주 수는 기존 1349만 6400주에서 3억3741만주로 늘어났습니다. 서울식품과 서울식품우는 2거래일 연속 상한가와 급등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특히 서울식품은 전일 급등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았는데요. 그 여파로 금일 대량거래량을 기록하며 초강세를 보였습니다. 서울식품우는 2일 연속 상한가에 안착했습니다.





*클릭시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영화테크 : 신규상장 첫날 자동차테마주 기대감 업고 상한가 기록.


영화테크는 금일 코스닥에 신규상장한 기업입니다. 자동차 전기장치인 정션박스 등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는 부품 제조업체인데요. 지난 2000년에 설립된 이 후 한국, 북미, 상해GM, 르노삼성, 쌍용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습니다. 




영화테크는 공모가 15,000원에서 142% 상승한 32,500원에 마감하였습니다. 영화테크는 지난해 매출액 약 614억원, 영업이익 약 65억원 당기순이익 약 56억원을 기록했다고 전해지는데요. 일반공모 청약에서 약 1022:1 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요즘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자동차 업종 들의 새바람이 불고 있는데요.  2017년 하반기를 주도한 테마인만큼 자동차업계의 기대감은 지속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클릭시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더블유케이 : 저가매수세 유입으로 급등하며 상승 추세 전환


이더블유케이는 지역발전설비 및 화공,LNG설비의 제조, 판매업을 영위하는 업체 입니다.  매출의 대부분은 해외 매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지열발전 부문이 당사의 매출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7년 8월 22일 신규상장한 이더블유케이는 상장 이 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왔는데요.






9월 15일 미국업체인 터보덴과 약 15억원 규모의 12MW 지열발전 설비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도 주가는 큰 변동폭없이 약세를 보여왔습니다. 10월 17일 임시주주총회 결과에서 조영수 사외이사를 신규 선임했다는 소식과 함께 상한가를 기록했는데요. 신규이사 선임 소식에 기업가치 고려, 재무구조 개선 등의 기대감에 힘입어 강세를 보여왔습니다. 현재 신고리공론화위원회의 원전재개 소식과 함께 탈원전 관련주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의 조정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지열설비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이더블유케이 주가의 상승여력은 장기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클릭시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코리아나, 한국화장품제조, 잇츠한불 : 사드완화 기대감에 화장품주 동반상승하며 초강세.


전일 중국 시진핑 주석의 전국대표대회에서 한 연설에 많은 이목이 집중되었습니다. 시진핑의 집권 2기를 맞게 되면서 중국의 고속 성장 단계에서 양질의 발전 단계 전환을 언급했는데요. 중국의 사드완화의 조짐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한국 단체관광 여행상품이 7개월만에 재등장 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항공업계, 여행업종, 화장품 관련주 들이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10월 19일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연장 체결 소식에 더불어 고전을 면치못했던 중국 관련주들이 다시 상승세를 보여왔었는데요. 그중 단연 돋보인 것은 화장품주 였습니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양국 관계 정상화를 위한 사드갈등 해소의 공동성명을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이 돌며 기대감을 부추겼는데요. 현재 중국과 관련된 중국소비주들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코리아나, 한국화장품제조,잇츠한불 등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클릭시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TAGS.

Comments